커넥션 풀이란?
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커넥션을 미리 만들어서 풀(pool) 속에 저장해 두고 있다가 필요할 때에 커넥션을 풀에서 가져다 쓰고, 사용이 끝나면 다시 풀에 반환하는 기법
특징
- 커넥션을 생성하는 데 드는 연결 시간이 소비되지 않는다.
- 커넥션을 재사용하기 때문에 생성되는 커넥션 수가 많지 않다.

커넥션 풀이란 DB와 연결하는 커넥션을 미리 생성해 두고, 풀에 저장해 두었다 필요할 때 꺼내 쓰고, 사용 후에는 다시 풀에 반환하는 기법을 말한다. (멀티쓰레드의 쓰레드풀과 유사하다.)
커넥션을 미리 생성해 두기 때문에 커넥션을 사용자가 DB를 사용할 때마다 매번 생성을 하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를 보장한다.
또한 커넥션의 최대 생성 개수도 제어해 주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몰려도 과부화를 방지할 수 있다
커넥션 풀의 오픈소스에는 대표적으로 DBCP와 C3P0이 있는데 여기선 DBCP를 사용하였다. DBCP는 아파치 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다.
그 외에 DBCP에서 사용한 Pool인 Commons Pool이 필요하다.부가적으로 로그 기록에 사용되는 Commons Logging도 필요하다.
'spring > 수업내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MVC패턴 예시2 [ LPROD ] (0) | 2024.07.22 |
---|---|
[Spring] MVC 애플리케이션의 계층 (0) | 2024.07.22 |
[Spring]롬복(Lombok) 설치하고 사용하기/ 이클립스 (0) | 2024.07.19 |
[Spring] MVC패턴 예시1 [ Book ] CRUD (0) | 2024.07.19 |
[Spring] MVC의 주요구성 요소사 웹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 (0) | 2024.07.19 |